https://ddalgakdesign.tistory.com/12

 

AI 공모전 딸깍 도전기 (4) I2V, 영상용 이미지 만들기 2

https://ddalgakdesign.tistory.com/11 AI 공모전 딸깍 도전기 (3) I2V, 영상용 이미지 만들기 1AI로 영상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T2V (Text to Video) : 텍스트로 영상을 만들기2. I2V (Image toV

ddalgakdesign.tistory.com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공모전이 끝난 지 2달이 지났는데도

영상 생성한 것을 안 올린 사람이 있다?

그게 바로 접니다.

우우 쓰레기

 

원래는 바로 이어서 올리려고 했는데

Midjourney 시리즈와 스레드 업로드의 재미에 빠져 이 시리즈를 유기해버리고 말았습니다.

변명의 여지 없이 게으름이 문제입니다! 

 

그럼, 각설하고 이전에 생성해 놓았던 이미지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이번 공모전의 I2V Image to Video 생성 툴로 Kling AI를 사용했는데요.

해당 툴을 사용했던 이유와 사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https://ddalgakdesign.tistory.com/29

 

Kling AI 딸깍 활용하기 (1) 소개

Kling AI이미지 생성 AI와 같이 영상 생성 AI도 춘추 전국 시대가 펼쳐지고 있습니다.분기별, 월별, 일별 업데이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서 따라가기가 벅찰 정도인데요. 지금 (2025년 2월 현재)

ddalgakdesign.tistory.com

 

사실 I2V는 너무 쉬운 방법인데요.

자신이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업로드한 후에

Generate를 '딸깍' 한 다음

기도를 하면 됩니다.

천지신명이시여!

 

이 부분은 정말 농담이 아닌데요.

사실 영상을 어떻게 생성될 지는 생성되기 전까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AI가 내 영상을 내가 생성하고자 한대로 생성되기를 기도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속수무책으로 내 소중한 Credit들이 소비가 되고 마는데요.

타사 대비 싸지만, 그래도 소비되는 Credit을 보고 있으면 가슴이 미어집니다.

 

이에 조금이라도 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아래 3가지 방법을 사용해보았습니다.

 

1. Positive Prompt에 해당 화면에 대한 설명을 쓰기

AI에게 이 이미지의 상황이 어떠한 지를 설명해서 최대한 원하는 화면이 나오게끔 유도하는 것입니다.

이런 방법을 쓰면 조금 더 내가 의도한 상황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아니 왜 대머리 아웃팅을 시키는 건데

 

2. Negative Prompt에 피하고 싶은 상황을 쓰기

Negative Prompt란 해당 영상을 생성할 때 나오면 안 되는 Prompt들을 뜻합니다.

저는 영상에서 자꾸 인물이 말을 하길래 Negative Prompt에 Talk, Laugh, Smile 등을 사용했습니다.

자꾸 무엇인가를 중얼거리는 인물들

 

3. Motion Brush 활용 

Motion Brush는 Kling AI 1.5에서만 제공하는 기능으로, 각 요소에게 색상을 부여한 뒤 방향을 설정하면

해당 방향으로 요소 객체가 이동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머리(보라색)를 아래로, 손(연두색)을 위로 Motion Brush로 설정한 모습

 

위의 방법을 통해 영상 작업들을 진행하였고,

이제 최종적으로 Premier Pro를 통해 작업물을 한데 엮는 작업으로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이어집니다!

반응형

Kling AI

이미지 생성 AI와 같이 영상 생성 AI도 춘추 전국 시대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분기별, 월별, 일별 업데이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서 따라가기가 벅찰 정도인데요.

 

지금 (2025년 2월 현재) 주목할만한 영상 생성 AI는 아래와 같습니다.

 

- ChatGPT의 SORA

- Luma Dream machine

- PIKA

- Runway

- KlingAI

- VideoFX (Google)

- Veo2 (Google)

 

다행히 영상 생성 AI 툴의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비슷하기에 배우기에 어렵지 않은데요.

오늘은 Kling AI를 소개해 보로독 하겠습니다.

 

Kling AI 1.6으로 생성한 영상

 

Kling AI의 경우 제가 영상을 생성할 때 자주 사용하는 툴인데요.

왜 수많은 영상 툴에서 Kling AI를 사용하는지부터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역시 이 모든 것은 2025년 2월 기준이라, 현시점에서 더욱 업데이트되거나,

다른 툴이 해당 툴의 장점을 흡수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Kling AI를 사용하는 이유

1) Kling AI 1.6의 영상 생성 능력이 좋습니다.

Kling AI가 1.6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되면서, 상대적으로 영상 구현 능력이 다른 툴보다 뛰어나졌습니다.

아래 영상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Runway
Kling AI

비록 1.5 버전이지만, 상대적으로 Runway보다 생성 능력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6에서는 더욱 비약적으로 발전했는데요. 현재로서는 SORA나 Runway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2) Prompt의 구현도가 뛰어납니다.

I2V, 즉 Image to Video를 생성할 때 Prompt를 입력할 수 있는데요. (필수는 아닙니다)

Kling AI에서는 해당 Prompt를 잘 이해하고 그에 맞도록 구현해 줍니다.

아래 동영상은 'A korean model vow her head for greeting'이란 Prompt를 넣은 결과물입니다.

Kling AI 1.6으로 생성한 영상

 

3) Brush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Brush 기능이란 이미지 속에서 각각의 요소들을 색상별로 나누고 해당 요소가 가야 할 방향 등을

설정하면 해당 방향으로 요소를 움직이게끔 생성해 주는 것입니다. 요건 공식 설명 영상으로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Brush 기능 설명

4) 가이드라인이 (상대적으로) 빡빡하지 않습니다.

Kling AI는 중국 기반 AI 툴입니다. 기존 SORA나 Runway 같은 경우는 가이드라인이 굉장히 엄격한데요.

예를 들면 '폭력적인 이미지'나 '선정적인 (또는 그렇게 판단한) 이미지'는 생성 자체가 거부됩니다.

다만 Kling AI도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미지'는 생성을 거부합니다.

Runway에서 가이드라인을 벗어난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자, 오늘은 Kling AI가 어떤 툴인지, 왜 사용하는지를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은 인터페이스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아요&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